데이터 소개
KMI는 체계적으로 축적한 건강검진 데이터를 통해 신뢰할 수 있는 연구 기반을 제공합니다.
개요
- 건강검진 DB 정의
- 국가(국민건강보험공단)건강검진(암검진/생애전환기검진 포함) 정보, 채용건강검진 정보, 종합건강검진 정보
- 건강검진 DB 내용
- KMI를 방문하여 검진에 참여한 수검자 중 만 19세 이상의 성인에 대한 건강검진 결과값을 후향적으로 수집한 자료이며,
오직 연구 목적으로 개인식별이 불가능하도록 익명화하여 제공
- KMI를 방문하여 검진에 참여한 수검자 중 만 19세 이상의 성인에 대한 건강검진 결과값을 후향적으로 수집한 자료이며,
- 건강검진 DB 제공의 근거
- '개인정보 보호법' 제2조(정의), 제3절 가명정보의 처리에 관한 특례
- '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' 제4장의2 가명정보의 처리에 관한 특례
- KMI ‘데이터심의위원회 운영 및 업무지침'
구분 | 내용 |
---|---|
검진연도 | 2021년 ~ 2024년 |
검진센터 | 광화문, 여의도, 강남, 수원, 대구, 부산, 광주, 제주 |
데이터 항목 | 기본변수, 신체계측, 장비검사, 진단검사, 설문조사 등 |
제주센터는 2023년 3월 이후의 데이터부터 제공 가능
데이터 항목과 제공 범위는 연구 목적에 따라 협의를 통해 조정될 수 있음
사용자용 이용지침서
- 건강검진 데이터의 구조, 변수명, 값 정의 등의 자세한 정보는 아래 이용지침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신청절차
온라인 접수
연구제안서
서면심사
온라인 접수
연구계획서
발표심사
협약 및 연구비 지급
데이터 신청 절차
데이터 제공
데이터 추출
심의결과 통보
데이터 심의
데이터 심의 신청
연구수행
- 연구완료
제출양식
- 신청 양식은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하여 작성하고, kmirnd@kmi.or.kr로 제출해야 합니다.
데이터신청 | 신청양식 | 데이터활용신청서 작성 가이드 | |
데이터심의 신청양식 |
참고사항
- 데이터는 KMI에서 수검자 동의 및 관련 규정을 준수하여 수집된 자료입니다.
- 데이터는 연구 목적 적합성 검토 및 데이터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제공됩니다.
- 심의 과정 중 행정처리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- 데이터 활용에 앞서 반드시 「KMI 건강검진 DB 사용자용 이용지침서」를 숙지하시기 바랍니다.